[평범한미디어 김현 기자]

광주청년유니온이 5월18일 41주년 5·18기념일을 맞아 "5.18 민중항쟁 41년, 임을위한행진으로부터 40년을 기억합니다"라는 제목의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단체는 "임을 위한 행진곡은 40년 전 한국사회의 변화를 위해 싸우다 먼저 간 임들을 기억하기 위해 만들어진 노래"라며 "1980년 5월 그 뜨거웠던 거리에 있었던 시민들이 꿈꿨던 광장을 넘어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이 사회를 더 인간답게, 평등하게, 존엄하게 바꾸어가고자 하는 모든 이들이 있는 공간에서 울려 퍼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임을 위한 행진곡이
▲ 차별 철폐를 부르짖는 장애인
▲ 사람답게 살고 싶다고 절규하는 이주 노동자
▲ 거리의 폐지를 줍는 빈곤 노인
▲ 죽음으로 향하는 동물의 도축 현장
▲ 차별과 혐오에 맞서 거리에 나선 성소수자
▲ 성평등한 세상을 꿈꾸며 거리에 나선 여성
▲ 내일을 상상하면 그저 막막하기만 한 청년들
▲ 독재를 반대하고 민주주의를 열망하는 미얀마
속에서 다시 불리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임을 위한 행진곡이 이제는 '나'와 '당신' 그리고 '우리'를 위한 노래가 되었다"며 "000을 위한 행진곡, 당신에게 000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남겼습니다.
[광주청년유니온 성명 전문]
여기 태어난지 40년이 된 노래가 있습니다. 오래 전 한국사회의 변화를 위해 치열하게 삶을 살아냈던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 노래의 제목은 ‘임을 위한 행진곡’입니다. " '000을 위한 행진곡' 1980년 5월 그 뜨거웠던 거리에 있었던 시민들이 꿈꿨던 광장을 넘어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이 사회를 더 인간답게, 평등하게, 존엄하게 바꾸어가고자 하는 모든 이들이 있는 공간에서 울려 퍼지고 있습니다. 이제는 '나'와 '당신' 그리고 '우리'를 위한 노래가 되었습니다. 2021년 5월 18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