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한미디어 윤동욱 기자] <AI가 말아주는 인생의 “선택”> 기사 이후 두 번째 AI관련 기사다. 작년 12월 18일에 KBC와 스마트인재개발원이 주최한 강연회에서는 첫 타자로 박병관 강사가 AI시대에 어떻게 살아야 할지에 대해 강연했었다. 2부에서는 유용한 AI 어플을 소개하고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한 실용적인 강의가 이어졌다.
2부의 문을 활짝 열어젖히게 된 스마트인재개발원의 김민수 연구원은 먼저 인사를 하며 “일잘러”라는 신조어의 뜻을 아냐며 주변을 환기했다. 일잘러는 문자 “그대로 일을 잘하는 사람”을 뜻한다.
일을 잘하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김민수 강사는 “선배들로부터 내려온 노하우 같은 것들을 잘 습득한 다음 거기에 더해 내가 가지고 있는 신기술이나 나만 아는 기술을 업무에 접목시켜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일처리를 하는 것”이라고 못 박았다. 아주 최적화된 일머리를 가지고 있는 인재다.

이어 김 강사는 여러분들이 그런 ‘일잘러’가 될 수 있도록 유용한 AI 어플을 소개하겠다고 밝혔다.
일단 AI 앱은 정확히 무엇일까? 김 강사는 “AI를 활용해 데이터를 분석하고 학습하며 사용자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라고 정의했다. 그리고 김 강사는 특정한 일에만 사용하는 어플이 아닌 대중적으로 사용할 만한 어플리케이션을 소개해주겠다고 단언했다. 심지어 김 강사가 소개하는 어플들은 전부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고 하니 대단한 꿀팁이 아닐 수 없다.
먼저 어플들을 나열해 보면 릴리즈, 냅킨, 뤼튼, 클로바노트, Scispace, deep L, Ideogram, Clipdrop, 에이닷, 달리3 등이다.
첫 번째로 ‘릴리즈’ 라는 어플이다. 이 툴은 동영상을 글자로 요약해 줄 수 있는 앱이다. 김 강사는 영상을 보여주며 어떤 식으로 어플을 활용해야 하는지 알려주었다. 가령 회의 자료를 만들기로 했는데 시간이 얼마 안 남은 시점이다. 자료를 만들 때 동영상을 참고해야 하는데 긴 동영상을 일일이 다 볼 시간은 없다. 이럴 때 이 어플을 활용하여 자료를 만드는 것이다.
그 다음 냅킨이라는 어플이다. 본지 기자는 상당히 생소한 어플이었다. 모르는 사람들은 ‘냅킨’하면 음식을 먹고 입 닦는 용도로만 알 것이다. 이 앱은 입력한 정보를 표로 도식화해주는 기능을 하고 있다. 김 강사는 시범영상을 보여주었는데 정말 신기했다. 원하는 그림을 골라쓰는 재미도 있다. 이 어플만 있다면 PPT가 두렵지 않다.

심지어 ‘뤼튼’이라는 어플을 사용하면 PPT도 어렵지 않게 만들 수 있다. 이 어플은 PPT 뿐만 아니라 자기소개서, 이력서 발표, 대본 독후감 등 여러 가지 초안들을 제공해준다. 요즘말로 하면 상당히 “혜자”라고 할 수 있다. 김 강사는 이 뤼튼을 한국형 ‘챗 GPT’라고 전했다.
이후 김 강사는 ‘클로바노트’라는 어플을 소개해 주었다. 사실 이 어플 때문이 이 기사를 쓰려고 결심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드디어 아는 어플이 나왔다. 특히 기자직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마치 구원자와 같은 어플이기 때문이다. 나도 이 어플을 잘 애용하고 있다. 사실 기자뿐만 아니라 회의가 많은 사무직 직원들, 강의를 듣는 학생들, 대학원생들도 많이 이용한다.
이 어플은 말을 하면 글로 변환해주는 어플이다. 쉽게 말하면 ‘받아쓰기’를 해주는 것이다. 상식적으로 말은 글보다 속도가 훨씬 빠르기 때문에 펜이나 타이핑으로 받아 적는데 한계가 분명하다. 오죽하면 ‘속기사’라는 전문 직업이 따로 있겠는가? 그런데 이 ‘클로바노트’는 그걸 가능하게 한다. 물론 한계는 있다. 말의 80% 정도를 글로 변환할 수 있다. 사람마다 말의 속도, 톤, 발음이 다 다르기 때문이다. 완전 100%는 아니지만 그래도 도움이 많이 되는 것은 사실이다. 심지어 이 어플은 요약 기능까지 탑재되어 있다.

이후로도 김 강사는 유용한 어플들을 계속 소개해주었다. ‘Scispace’는 논문 및 리서치 위주의 전문적인 지식을 검색해주는 툴이다. ‘Deep L’은 작업 중인 내용을 실시간으로 번역해 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Ideogram’은 캘리그라피와 같이 글자 위주의 이미지를 생성해준다.
‘Clipdrop’는 배경과 사물을 분리하고 다양한 조합을 해준다. 그리고 ‘에이닷’이라는 어플도 소개 해 주었는데 이 어플도 너무나 친숙한 어플이다. 통화 녹음 어플인데 요약 기능도 있다. 이 역시 전화 취재를 하는 기자들에게 너무나도 고마운 어플이다. 달리3이라는 어플도 있었는데 원하는 요구에 맞춰 이미지를 제작해주는 어플이다.

김 강사가 소개한 어플들은 하나같이 너무나도 유용한 어플들이다. 이 어플들을 모르는 사람들도 많을 것인데 이 글을 잘 참고해서 문서나 자료를 작성할 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하지만 아무리 어플들이 좋다고 해도 사용하는 인간의 역량에 따라 결과물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AI를 활용해서 콘텐츠를 만들었다고 해도 소위 “꿀 빨았네~” “네가 한 게 뭐니”라고 말해서는 대단히 큰 실례다. 좋은 도구를 잘 활용하는 것도 역량이고 능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