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한미디어 윤동욱 기자] 예전에 영화 ‘스타워즈’를 재밌게 본 적이 있다. 에피소드 시리즈에서 이런 장면이 나온다. 주인공 아나킨 스카이워커(헤이든 크리스텐슨 배우)는 애인이 되는 파드메(나탈리 포트만 배우) 의원에게 이런 말을 한다.
누군가 현명한 자가 나타나 모든 사람들의 의견을 통합했으면 좋겠다
그 말을 들은 파드메는 “그건 독재를 의미하는 것 같다”며 웃으며 넘기려 하지만 아나킨은 “그렇게 해서라도 잘된다면 그렇게 해야 한다”는 식으로 말했다. 그러자 파드메는 얼굴이 굳는다. 어렸을 때는 아무 생각 없이 봤는데 지금 보니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처럼 꼭 ‘아나킨’이 아니라도 현실에서 우리는 “현명하고 똑똑하고 이타적인”사람이 모든 결정권을 가지고 리드하는 체제를 원하고 신봉하는 사람들을 종종 마주칠 수 있다. 그게 현실에서든 온라인에서든 말이다. 언젠가는 메시아 같은 사람이 나타나서 이 썩어빠진 한국 정치와 한국 사회를 바꿔주길 원하면서 말이다. 정말 아이러니하게도 민주주의의 최대 수혜를 받은 사람들이 그런 이야기를 한다.

하지만 이건 유니콘 같은 것이다. 예전 플라톤도 ‘철인정치’를 강조한 적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철인은 철학에 대한 이해가 높으면서도 똑똑하고 현명하고 공동체를 위하는 사람을 가르킨다. 플라톤은 이 소수의 사람들이 이끄는 정치를 가장 이상적인 정치라고 명명한 바 있다. 플라톤은 중우 정치를 혐오하는 사람이다.
플라톤의 생각처럼 민주주의는 현대 사회에서 제일 최적화된 체제이지 단점이 아예 없는 체제라고는 말을 할 수 없다. 제일 맹점은 역시 중우정치로 흐를 수 있다는 것이다. 절대 다수가 한 결정이라고 해서 그게 무조건 옳은 것이라고는 볼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모두의 의견을 다 들어봐야 하기 때문에 의사결정 속도에서 느릴 수밖에 없다.
하지만 한 사람 또는 소수가 권력을 독점하게 되면 의사속도 결정에서 일사불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문제는 그 사람이 항상 옳은 결정만 내리는 인간이라는 전제가 붙어야 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애초에 모든 사람들을 만족시키는 정책이나 결정이라는게 존재할 수 있을까?
어떤 사람들은 세종대왕을 예로 들기도 한다. 만약 세종대왕이 지금 한국을 이끈다면 나 역시도 찬성할 수 있다. 그런데 확률적으로 독재자를 추대한다고 가정했을 때 세종대왕 같은 분이 될 가능성이 높을까 연산군이 될 가능성이 높을까? 어떤 거대 집단이나 국가의 운영을 한 사람의 성품으로 기대야 한다는 것이 얼마나 도박인지 우리는 역사를 통해 배웠다. 예를 들어 왕정국가에서 윤석열 씨가 계속 왕을 한다고 생각해 보라 얼마나 끔찍한가? 그러면 탄핵도 못한다.
일단 다른 것을 다 떠나서 그런 철인이 권력을 획득했다고 가정해보자 그런데 그 철인이 평생 집권하면서 항상 옳은 결정만 할까? 항상 사람이 도덕적이기만 할까? 인간은 얼마든지 타락할 수 있는 존재다. 그걸 염두해 두어야 한다.
아까 ‘메시아론’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다. 이 문제는 워낙 한국정치의 대표적인 고질병 중 하나다. 아마 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한 향수 때문일 수 있다. 그때 어쨌든 경제는 성장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제 그런 향수도 떨칠 때가 되었다. 6,70년대 이야기를 왜 2025년에도 하고 있는가? 답답하다. 박정희 독재 체제 당시 경제도 성장했지만 죄 없는 사람들이 피도 많이 흘렸다.

대선 출마 선언을 공식화한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이런 메시아론으로 재미를 본 대표적인 정치인 중 하나다. 2012년 이후 안철수 붐은 그 예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기존 정치에 물들지 않은 당시 안철수 대표는 지지자들에게 메시아로 보여지기 충분했고 언젠가는 안 대표가 한국 정치를 바꿔줄 거라는 희망을 품게 했다.
이외에도 “MB가 다 해주실 거야” 같은 밈도 있다. 2007년 대선 당시 한나라당 지지자가 한 말인데 인터넷에 그대로 박제되어 버렸다. 대통령이 다 해주는 사람인가?
거대 양당 체제의 한국 정치는 이 ‘메시아론’을 더욱 부추기는 역할을 하는 것 같다. 정치인들은 본인이 항상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상대 정치인과 당을 국가를 좀먹는 빌런으로 상정한다. 그러면서 철인인 내가 집권하여 저 원흉들을 모두 없애주겟다고 지지자들에게 어필한다. 마치 본인이 이 대한민국의 구원자인 것처럼 행동하는 작태를 보이기도 한다.

윤석열 씨는 거기에 매몰된 한 사람이다. 윤 씨는 맨날 자신에게 반기를 드는 종북주의자들을 척결해야 대한민국에 미래가 있을 것이라는 진지한 망상에 사로잡혔다. 그래서 계엄을 통해 진짜로 메시아가 되려고 했다. 윤 씨는 현명한 자신이 직접 독재를 해야 대한민국이 산다고 진지하게 생각했을 것이다. ‘메시아론’의 폐해가 여실히 드러난 케이스다.
민주주의 국가의 시민이라면 ‘메시아론’은 지양해야 할 태도다. 현실적으로 메시아 한 사람이 왔다고 한들 모든 것을 하루아침에 다 개선하고 바꿀 수 없는 것이다. 유토피아가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메시아나 철인도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다. 중요한 것은 우리 스스로가 자각을 가지고 조금씩 좋은 방향으로 바꿔나가는 것이다. 투표도 열심히 하고 정치에도 조금씩 참여해야 한다. 메시아는 더 이상 기대하지 말자

민주주의가 맹점이 있는 것은 나도 인정한다. 그렇다고 해서 독재를 옹호하는 것은 밥이 맛없기 때문에 앞으로 개똥을 먹겠다는 행위와 다를 게 없다. 문제가 있으면 보완하는 방향으로 가야지 더 최악의 방향으로 가는 것은 매우 어리석은 행위다. 돈이 부족하면 자기계발을 하고 일을 더 해서 돈을 벌어야지 그나마 있는 돈으로 도박에 뛰어들다가 빚만 잔뜩 생기는 꼴이다.
민주주의 국가에서 독재에 관해 논할 수 있다. 하지만 독재 국가에서 민주주의를 논하는 순간 수용소 신세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