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한미디어 →현장 취재: 윤동욱 기자 / 기사 작성: 박효영 기자] 20명 내외의 시민들이 아담한 공간에 모여 활동가의 이야기를 듣는다. 그리고 질문을 하고 답변을 받는다.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가 5.18 민주화운동 44주년을 맞아 <작지만 소란한 공론장>이라는 이벤트를 기획했다. 말하자면 청년들이 5.18과 광주와 지역에 대해서 관심이 없다고 이렇게 많이들 얘기하는데 왜 청년들이 우리 지역에 관심이 없을까라는 질문을 좀 시작을 했다. 그러면 청년들이 요즘 과연 어떤 가치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고 또 어떤 것들을 중요하게 여기는가 이런 것들을 알게 되면 자연스럽게 오월 정신과도 연결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 그래서 광주라는 지역에서 자신만의 색깔을 가지고 활동들을 하고 있는 분들을 직접 만나 보고 그분들이 생각하는 5.18 이야기를 들어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 7월2일 19시 광주 동구에 위치한 한걸음가게에서 <작지만 소란한 공론장> 4번째 행사가 열렸다. 호스트로 초대된 인물은 ‘지역공공정책플랫폼 광주로’에서 활동하고 있는 김유빈 활동가다. 김 활동가는 11년차 활동가로서 2013년 5.18 기념재단 자원활동
[평범한미디어 차현송 기자] ‘코로나19 진상규명 시민연대’가 23일인 오늘 코로나19로 사망한 사람들과 백신 접종 후 사망한 사람들을 추모하기 위한 합동분향소를 설치했다. ‘코로나19 진상규명 시민연대’는 정부의 코로나19 방역정책을 비판하는 취지로 결성된 시민단체이다. 이들이 설치한 합동분향소는 오후 2시 30분 경 서울시청 건너편 서울도시건축전시관 앞 인도에 가로 5m, 세로 5m 크기의 천막 3동과 가로 5m, 세로 3m의 천막 2동으로 설치되었다. 이에 관련하여 김두천 시민연대 상임회장은 “코로나로 숨진 사망자가 7천명에 육박하는 상황에 제대로 장례조차 치르지 못한 이들을 위로하는 의미에서 분향소를 만든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금껏 코로나19로 인해 사망한 환자에 있어서는 ‘선 화장 후 장례’를 원칙으로 해왔다. 당국은 코로나 사망자의 시신을 통하여 바이러스가 전파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선 화장 후 장례’의 지침이 마련되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는 꾸준히 논란이 되어왔다. 이 경우, 사망자의 유가족들은 임종을 지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사망률이 높지도 않은 코로나19로 인해 내 가족의 마지막을 함께하지 못하고, 소중한 사람을 제대로 애도할 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