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한미디어 윤동욱 기자] 그동안 광주는 대도시 치고 재미가 없는 도시라는 평가가 많았다. 그래도 인구 100만이 넘는 광역시인지라 인프라가 좋은 편이고 살기에도 나쁘지는 않다. 그러나 수도권과 비교하지 않고 영남권 광역도시와 비교해보더라도 놀거리나 볼거리는 상대적으로 열악하다. 딱 잘라 말하자면, 자신의 직장만 있다면 있을 건 다 있어 살기에는 불편함이 없지만 그렇다고 놀거리나 볼거리 등 콘텐츠가 풍부한 도시는 아닌 느낌이다. 물론 동구의 양림동이나 동명동 등 핫플레이스도 있고 무등산도 있어 놀거리나 볼거리가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외지 사람들이 광주의 매력을 알기에는 아직 홍보가 많이 되지 않은 것 같다. 사실 광주하면 주로 5.18로 대표되는 민주도시 이미지가 상당히 크지 관광 도시적 측면에서는 좀 부족하다. 오히려 전남 여수나 목포가 관광지로서의 이미지는 압도적이다. 이런 사례를 말해주듯이 국내 여행 방문지 조사에서 2020년 기준으로 광주가 17개 광역단체들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광주시 입장에서는 상당한 굴욕이다. 물론 시간이 좀 지나기는 했지만 지금도 여전히 하위권일 확률이 높다. 사실 타지 사람의 경우 다른 대도시로 여행을 간다고 가
[평범한미디어 문명훈 칼럼니스트] 인기있는 문화 콘텐츠는 그 시대의 단면을 보여줍니다. 1978년 출판된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통해 우리는 70년대 도시 빈민층의 삶을 간접 경험할 수 있고, 1987년 발표된 소방차의 노래 <어젯밤 이야기>는 당시 한국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댄스 노래로 대중음악의 변화 양상을 보여줍니다. 1999년 개봉한 강제규 감독의 <쉬리>는 국내 첫 200만 관객 돌파 영화인데 그 영화를 통해 우리는 당시 한국 영화의 성장과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엿볼 수 있습니다. 2000년대 수많은 부모님들의 속을 끓게 했던 <스타크래프트> <바람의나라> 등과 같은 게임은 지금 돌아보면 디지털 문화의 성장을 상징하는 콘텐츠입니다(사실 두 게임이 90년대에 출시되었다는 건 비밀입니다). 2013년에 시작한 예능 프로그램 <나 혼자 산다>는 급증하는 1인 가구들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프로그램이죠. 어떤 콘텐츠든 어느 정도 그 시대의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사회를 비추는 거울 넷플릭스 시트콤 <내일 지구가 망해버렸으면 좋겠어> 제가 최근 며칠 동안 빠져있는 콘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