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부모는 자식한테 정서적 마동석이 되어주어야”

배너
배너

[평범한미디어 박효영 기자] 부모만큼은 자식을 무조건적으로 지지하고 응원해줘야 한다. 자식은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인격을 형성하고 부모 눈동자 속에 비친 자기 모습을 보고 신뢰감을 느낀다. 서유지 소장(한국부모교육연구소)은 “나는 널 사랑해. 네가 무슨 짓을 해도 사랑해라고 하는 이런 부모가 되어주는 게 정서적인 마동석”이라고 설명했다.

 

내가 울면 부모가 더 힘들어하고 내가 화내면 부모가 더 길길이 뛰고 이런 거 말고 훨씬 더 큰 울타리를 가진 존재 그래서 이건 되고 이건 아니야. 이럴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그러면 이제 부모들이 말한다. 그럼 우리는 어떡하냐? 나도 상처 많은데 그거는 어른들끼리 해결해야 된다.

 

자식에게 일종의 나보다 더 성숙한 키다리 아저씨와 같은 존재가 되어주는 것이 바람직한 부모다. 그것이 서 소장이 말하는 바람직한 부모상이다. 다만 감정이입이 되어 자식의 기분에 일희일비하는 것은 옳지 않다. 서 소장은 “그런 감정을 아이들에게 전가시키는 건 아마 케이 장녀나 케이 장남인데 그건 이제 우리 세대에서 끝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 소장은 지난 6월11일 20시에 개최된 온라인 북토크 행사에서 “정서적인 마동석이 되어주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서 소장은 책 <죄책감과 작별하는 부모>를 출간했다. 정서적인 마동석이 되어주기 위해선 자신의 불안을 아이에게 전가하지 않고 어른들끼리 해결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자신의 감정적 상처를 자식에게 전가하지 않는 것이 핵심이다.

 

그럼 나도 그랬으니까 내 자식한테 또 그럴 필요 없다. 어른들의 불안과 어른들의 정서는 어른들끼리 서로 양해해주면서 다스리는 것이다. 서로 자기 돌봄을 하는 것이다. 자녀에게 내 신세 한탄과 푸념과 니네 아버지가 어떤 인간인줄 아냐. 너네 할머니가 나한테 어떻게 했는 줄 아냐 혹은 너네 엄마 같은 여자 이상하다. 이런 작업들을 아이들에게 하면 두고두고 아이들이 너무 빨리 어른이 되어서 집을 걱정하고 부모의 파트너가 되는 우리 세대에 많이 겪었던 좋지 못 한 방법들로 가정을 운영해갈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어른은 어른들끼리 서로에게 힘이 되어주어야 한다.

 

서 소장은 가수 양희은씨와 개그우먼 이성미씨가 서로 좋은 멘토와 멘티가 되어줬던 사례를 제시하기도 했다. 무엇보다 서 소장은 “정서적인 마동석이 되어주기 위해 일단 건강해야 하고 다정해야 하는데 그러려면 체력이 있어야 한다”면서 아래와 같이 제언했다.

 

부모들이 먼저 자기 돌봄을 하셔서 체력을 좀 기르고 건강을 위해서 영양제도 드시고 보약도 드시고 슬기로운 말은 배움과 여유에서 나오는데 책도 많이 읽고 강의도 많이 듣고 유튜브도 보고 하는데 그 배움이 결국은 사실 마음의 여유가 있어야 나올 수 있다. 좋은 종교 생활하셨으면 좋겠고. 그 다음에 부모라는 게 굿 역할도 있고 배드 역할도 있는데 그게 통합되면 그만이지라는 좀 자신을 향한 넉넉함, 자기 이해, 자기 돌봄을 통해서 마음의 깊은 여유가 있어야 한다. 그렇게 배우고 들었던 것들을 아이들에게 아이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좋은 언어로 표현해낼 수 있었으면 좋겠다.

 

정서적 마동석론의 골자는 여기까지다. 다음으로 서 소장은 부모가 버려야 할 3가지 감정을 제시했는데 △과도한 책임감 △죄책감 △불안 등이다. 과도한 책임감은 한 마디로 “내가 우리 아이를 잘 키워서 뭐를 만들겠다. 우리 애 의대 보내겠다. 우리 애 뭐 시키겠다”와 같은 대리 욕구 실현 본능과 같은 것이다. 이런 과도한 책임감을 내려놔야 한다. 죄책감은 책 내용의 핵심 메시지인데 자식한테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조건을 제공해주지 못 했다거나 충분히 교육을 시켜주지 못 했다거나 “못 해줘서 느끼는 감정”이다. 그러나 서 소장은 오히려 “완벽한 부모가 제일 나쁜 부모”라며 굿과 배드 중 배드가 없는 상태라서 “적절하게 아이들이 좌절하면서 배워갈 수 있는 인생을 박탈하는 제일 나쁜 부모”이기 때문에 자기 조건과 현실에 맞게 자식을 양육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환기했다. 그래서 뭘 못 해주고 안 해줘서 죄책감을 가질 필요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너무 완벽하려고 너무 잘하려고 애쓰지 말고 죄책감으로부터 미안한 걸로부터 적절하게 좀 작별을 해도 된다. 물론 이제 우리가 좋은 죄책감 그러니까 통찰하고 성찰해서 다음부터는 똑같은 실수를 안 해야지 하는 것까지는 괜찮다. 그런데 매번 자녀를 향해서 미안하고 괴로운 마음을 가지고 있으면 사실 감정은 전달이 아주 잘 된다. 전염성이 강해서 아마 자녀들도 부모가 느끼는 죄책감을 전달받게 된다. 부모와 자녀도 엄연히 다른 남이자 다른 인격체이기 때문에 그 유쾌하지 않은 감정이 전달되면 썩 같이 지내기가 그렇게 좋지 않다. 아이들의 생존이 부모한테 걸려서 그냥 참고 살 뿐이지 기분이 나쁠 것이다.

 

서 소장은 불안에 대해 “누구나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다 가지고 있다”면서 “불안을 다스리는 방법이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제 밖으로 꺼내면 가장 좋다. 언어로 꺼내서 내가 이럴 때 이런 감정을 느낀다. 이러면 이게 불편하다. 본인이 본인에게 자기 감정들을 알아차리게 하는 순간 언어로 꺼내고 인지하는 순간 조금 불안 수위가 낮아질 수는 있다”고 조언했다. 나아가 서 소장은 “아이들에게 불안을 전수하지 않게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프로필 사진
박효영

평범한미디어를 설립한 박효영 기자입니다. 유명한 사람들과 권력자들만 뉴스에 나오는 기성 언론의 질서를 거부하고 평범한 사람들의 눈높이에서 사안을 바라보고 취재하겠습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