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한미디어 박효영 기자] “확진자 수라고 하는 덫에 우리 사회 전체가 지금 발목이 붙잡혀 있는 상황이다. 거기서 벗어나야 우리가 단계적 일상 회복이 가능하다.” 김윤 서울대 의료관리학과 교수가 23일 방송된 SBS <8시 뉴스>에서 한 발언이다. 26일 기준 코로나 신규 확진자 수는 2771명이다. 전날(25일)은 역대 최고로 많은 3272명이었다. 전국민이 2020년 초부터 지금까지 2년 가까이 코로나 시국을 보내며 하루 확진자 수 증가세를 토대로 상황을 판단해왔다. 기억이 희미해졌지만 △2020년 1월 3번 확진자 △2020년 2월 신천지와 대구 △2020년 5월 이태원 클럽발 확산 △2020년 8.15 광복절 집회발 재확산 △2021년 6월말 수도권 클럽발 델타 변이 확산 등 여러 차례 중대 기로가 있었다. 그런데 놀라운 이야기를 접했다. 최근까지 영국에 머물다 입국한 박지성 선수는 8일 방송된 tvn <유퀴즈 온더 블록>에 출연해서 “(영국은) 하루에 2만명 넘게 확진자가 나오고 있는 상황인데 격리라는 것이 없다”고 말했다. 진행자 유재석씨는 “얼마 전에 손흥민 선수 시즌 시작해서 경기장 보니까 관중들이 다들 마스크를 안 쓰고
[평범한미디어 윤동욱 기자] 지난 6월 초중순(6월11일~13일) 문재인 대통령이 영국 콘월에서 개최된 G7 정상회의에 참석했다. 이를 두고 대한민국의 위상이 높아졌음에도 언론 보도가 너무 이뤄지지 않아 아쉽다는 반응이 친문 진영에서 나왔다. 그래서 문 대통령이 G7에 초대된 것이 어떤 의미인지 가서 뭘 했는지 짚어봤다. 기본적으로 G7(미국/영국/독일/프랑스/캐나다/이탈리아/일본)은 미국 위주의 세계 최강대국 정상들이 모이는 국제회의로 중국을 견제하는 성격을 내포하고 있다. G7의 역사는 1974년 1차 오일쇼크에 대응하기 위해 친미 국가 5개국(미국/일본/영국/프랑스/독일)이 머리를 맞대는 것에서 시작됐다. 이내 이탈리아와 캐나다도 추가됐다. 탈냉전 이후 1997년 러시아까지 들어와 G8이 됐지만 2014년 크림반도 문제로 강퇴됐고 점차 G7으로 자리잡았다. 그러다가 1990년대부터 급속도로 덩치를 키운 중국이 부각되며 G7이 반중국 견제 기능을 부여받게 됐다. 미국의 대중국 블록화 전략이 된 것이다. 원래 한국은 G7 참여국이 아니지만 트럼프 정부 때부터 심화된 미중 갈등 국면에서 미국이 우호국을 최대한 많이 확보하기 위해 옵저버(의결권없는 참관국)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