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2월부터 평범한미디어에 연재되고 있는 [박성준의 오목렌즈] 63번째 기사입니다. 박성준씨는 휠체어를 타고 다니는 뇌성마비 장애인 당사자이자 다소니자립생활센터 센터장입니다. 또한 과거 미래당 등 정당활동을 해왔으며, 현재 사회적 약자의 권익을 위한 각종 시민사회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한국 정치에 관심이 많고 나름대로 사안의 핵심을 볼줄 아는 통찰력이 있습니다. 오목렌즈는 빛을 투과시켰을 때 넓게 퍼트려주는데 관점을 넓게 확장시켜서 진단해보려고 합니다. 매주 목요일 박성준씨와의 전화 인터뷰를 통해 색깔 있는 서사를 만들어보겠습니다. 더불어 박성준 센터장은 2024년 7월11일부터 평범한미디어 정식 멤버로 합류해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평범한미디어 박효영 기자] 오목렌즈 전화 대담은 기본적으로 대한민국에서 일어난 이슈들 중 가장 핫한 소식을 다뤄왔다. 그러나 전화 통화 앞뒤로 스몰 토크를 하다가 문득 중요한 이야기를 나눌 때가 있는데 기사화하기 애매한 것들이 있다. 그래도 그냥 묵혀두긴 아까워서 기사로 써보려고 하는데 바로 ‘청소년 자살’ 문제다. 꽤 중요한 이야기를 나눴다. 작년 11월28일에 진행된 전화 대담이었는데 박성준 센터장(다소니자립
[평범한미디어 박유나 기자] 대한민국 청소년 4명 중 1명이 우울증을 경험하고 있다고 한다. 시험에 대한 과도한 부담감, 정체성 고민, 어려운 가정환경 등 다양한 요인들이 있을텐데 우리 청소년들은 자살에 반항하지 못 하고 순응해버릴 수밖에 없다. 정신과 전문의 안병은 원장(행복한우리동네의원)은 지난 4일 청년정의당 정신건강위원회 주최로 정의당 중앙당사에서 열린 강연에 연사로 참여했다. 안 원장은 강연 주제를 <청소년 자해, 자살, 그리고 애도>로 잡았다. 안 원장은 "자살은 너무 순응적"이라고 표현했는데 "자살에 맞서 반항하고 속된 말로 개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청소년의 정체성 고민은 아주 중요하고 필수적인 과정인데 이 시기를 제대로 거치게 되면 "자살에 반항할 수 있는 힘"을 갖게 된다는 것이 안 원장의 지론이다. 하지만 안 원장은 몇몇 기성세대의 '낙인'이 청소년의 정체성 고민을 방해한다고 봤다. 누구나 흔히 들어봤을 법한 '중2병'. 기성세대는 청소년들의 깊은 정체성 고민과 그로 인한 반항 등 일련의 나를 찾아가는 과정을 중2병이라 부르며 너무나 쉽게 질병화를 해버린다. 기성세대가 정해놓은 기준 안에서 청소년들은 의례 일탈하는 시기가 있는
[평범한미디어 박효영 기자] ‘자살’을 거꾸로 하면 ‘살자’? 지금 이런 조언을 할 때가 아니다. 두 발 딛고 서있는 곳 즉 속해 있는 공동체들이 살만하지 않다는 것이 핵심이다. 청소년들이 그렇게 느끼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정신과 전문의 안병은 원장(행복한우리동네의원)은 “우리 청소년들은 죽어도 상관없다는 생각을 많이 한다”면서 “핵심은 붕괴된 공동체의 문제다. 살만한 세상이냐. 집이 건강하냐. 학교가 건강하냐”라고 말했다. 이어 “(아이들은) 돌봄의 공동체인 가족을 부정한다. 가출이다. (어른들은) 가출하는 아이들에 대해 얼마나 불온하게 쳐다보는가. 배움의 공동체인 학교를 부정한다. 탈학교. 어른들이 만든 세상을 부정한다. 자살”이라며 “그러면 어떻게 살고 싶은데? 니가 생각하는 죽음은 뭐니?”라고 물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근데 보통 어른들은 아이들이 힘들다고 하면 “살면 얼마나 살았다고 이 자식들이. 니네가 가출을 해? 니네가 학교를 관둬? 자살을 해?”라고 하면서 “불온한 존재”로 취급한다. 안 원장은 지난 4일 청년정의당 정신건강위원회 주최로 정의당 중앙당사에서 열린 강연에 연사로 참여했다. 안 원장은 강연 주제를 <청소년 자해, 자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