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한미디어 박효영 기자] 평생 대도시에서만 살았다. 스스로 “도시 여자”라고 생각해왔다. 그런데 코로나가 막 시작할 즈음 제주도로 내려와서 살고 있다. 예술가로 활동하고 있는 요이씨는 22일 15시 전남대 제1학생마루 3층 소강당에서 개최된 <기후위기 시대 여성들의 바다와 땅 이야기>에 참석해 “도시 여자로만 살았던 것이 현실이다. 처음 제주로 이주했을 때는 사실 수영하는 법도 몰랐다”고 고백했다. 그러나 이내 수영을 하게 됐다. 자연스럽게 익숙해졌다. 그냥 멀리서만 소비자로서 다들 한 번씩 관광지로 가는 것으로만 알고 그런 인상으로 (제주도를 인식하고) 살았던 것이 사실인데. (제주도로 와서) 매일 이제 바다 바로 옆에서 지내면서 마주하다 보니까 정말 자연스럽게 헤엄치는 법을 바다에서 터득한다. 그래서 그 순간부터 어떻게 보면 내 몸과 물과의 관계가 다시 이렇게 생겨나기 시작한 것 같다. 요이씨는 제주도 동쪽(제주시 구좌읍 하도리)에 있는 작은 마을에서 거주하고 있다. 이웃들은 전부 해녀다. 일과시간 요이씨가 바다에서 “행복한 시간을 보내고 있을 때”마다 해녀들이 일하고 있는 현장을 보게 된다. 어떻게 보면 정말 멀리서만 봤던, 미디어에서만
[평범한미디어 문보성 기자] 지난 7월19일 오전 8시35분쯤 포항시 북구 송라면 방석 2리 50미터 해상에서 실종 신고가 접수됐다. 경북소방본부에 따르면 70대 해녀 A씨가 어획물을 채취하기 위해 어촌계 마을 공동어장에 들어갔으나 나오지 않았다고 한다. 동료 해녀들은 실종 신고를 한 뒤 급하게 찾아 나섰고 결국 A씨를 찾았다. 그러나 A씨는 이미 심정지 상태였다. 출동한 구조대원들은 심폐소생술 등 응급 조치를 취한 뒤 급하게 병원으로 이송했지만 끝내 상황을 반전시키지 못 했다. 정확한 사고 원인은 파악 중이다. 포항해양경찰서는 "물질에 익숙한 해녀이지만 나이가 고령인 점을 토대로 추가 조사를 진행 중"이라며 "향후 사고 재발을 막기 위해 대책을 마련하겠다"라고 밝혔다. 해녀처럼 물질에 익숙한 사람들은 방심을 할 수 있어서 더 위험해질 수 있다. 제주에 사는 30대 해녀 정소영씨는 인터뷰를 통해 "주로 바위에 부딪혀 상처가 많다. 물속에 들어갈 때 납을 허리에 차는데 낚싯줄이 납에 엉켜버리거나 해초가 발에 걸리면 나오기가 정말 힘들다"고 강조했다. 한편, 2018년 해양경찰청 자료에 따르면 해녀 인구 1만2000여명 중 지난해 16명이 사망(0.13%)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