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한미디어 김미진 기자] 산업재해 사망사고 발생 시간을 분석한 결과 오전 9~11시, 오후 1~3시의 총 4시간 구간에 40%나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 관계자들은 "당연한 소리"라며 정부의 순찰 강화 계획에 대해 비판적이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최근 5년 산재 사망자 수는 4500명이다. 이중 오전 9~11시(933명)와 오후 1~4시(906명) 구간에 총 40.9%가 몰려 있다. 유형별로는 건설업에서 '추락'으로 인한 사망자(216명·53.2%)가 가장 많있고 제조업은 '끼임'으로 숨진 사람(61명·33.3%)이 최다인 것으로 조사됐다. 노동부는 이 시간대에 왜 사망사고가 빈번한지 안전점검 방안을 수립하고 순찰을 강화하면 산재 사망자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봤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순찰만으로는 해결이 안 될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충남 소재 모 건설사 대표 A씨는 평범한미디어와의 통화에서 "작업자가 주로 일하는 시간이니까 당연히 사망사고가 많은 게 아니냐"라며 "배달 라이더도 점심에 가장 사고가 많이 난다고 한다. 생각해보면 점심시간 1시간 제외하곤 다 포함된 시간대다. 단순 현장 점검은 해결책이 안 된다"고 비판했다. 인천 남동공단 소재 제조
[평범한미디어 김미진 기자] 겨울을 맞은 건설업계 현장 노동자들에게 동장군보다 더 무서운 것은 '질식사'다. 특히 건설업은 기초공사를 위해 콘크리트 보온양생 작업을 필수적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질식 사고가 잦은 편이다. 그러니까 콘크리트 작업을 마치고 굳게 만들기 위해 난로를 이용해서 보온양생을 해야 하는데, 열이 빠져나가지 않게 하기 위해 천막을 친다고 한다. 탄화도가 낮은 갈탄과, 나무를 태우는 목탄 등은 일산화탄소를 많이 일으키고 천막으로 인해 환기가 안 되기 때문에 위험할 수밖에 없다. 일산화탄소 안전 사고는 비단 산업 현장 외에도 겨울 캠핑에서 난로를 사용할 때 자주 일어날 수 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11년부터 올해까지 195건의 질식 재해로 316명이 다쳤고, 168명(53.2%)이 목숨을 잃었다. 업종별 재해 건수를 보면 건설업(78건 40%), 제조업(58건 29.7%), 기타 사업(35건 17.9%) 순이었다. 사망자 수는 건설업 68명(40.5%), 제조업 52명(30.9%), 기타 사업 28명(16.7%) 순이었다. 건설업 계절별 질식 재해 사망자 기록을 보면 겨울(12~2월)에 26명이 숨져 전체 대비 38.2%를 차지했고, 겨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