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산재 사망자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간대'만 집중 관리하면 될까?

배너
배너

[평범한미디어 김미진 기자] 산업재해 사망사고 발생 시간을 분석한 결과 오전 9~11시, 오후 1~3시의 총 4시간 구간에 40%나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 관계자들은 "당연한 소리"라며 정부의 순찰 강화 계획에 대해 비판적이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최근 5년 산재 사망자 수는 4500명이다. 이중 오전 9~11시(933명)와 오후 1~4시(906명) 구간에 총 40.9%가 몰려 있다. 유형별로는 건설업에서 '추락'으로 인한 사망자(216명·53.2%)가 가장 많있고 제조업은 '끼임'으로 숨진 사람(61명·33.3%)이 최다인 것으로 조사됐다.

 


노동부는 이 시간대에 왜 사망사고가 빈번한지 안전점검 방안을 수립하고 순찰을 강화하면 산재 사망자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봤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순찰만으로는 해결이 안 될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충남 소재 모 건설사 대표 A씨는 평범한미디어와의 통화에서 "작업자가 주로 일하는 시간이니까 당연히 사망사고가 많은 게 아니냐"라며 "배달 라이더도 점심에 가장 사고가 많이 난다고 한다. 생각해보면 점심시간 1시간 제외하곤 다 포함된 시간대다. 단순 현장 점검은 해결책이 안 된다"고 비판했다. 

 

 

인천 남동공단 소재 제조업체 관계자 B씨의 의견도 비슷한 취지로 꼬집었다.

 

B씨는 "(안전 조치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만들어야지 가이드라인 하나 던져놓고 지켜라, 종종 감시할 거다라고 해도 강제성이 없는데 그걸 지킬 곳이 얼마나 있을까"라며 아래와 같이 강조했다.

 

사실 낮도 그렇지만 새벽에 일하는 사람들이 더 위험한데 정부는 민간기업 야간 근로 자제를 강제할 법적 권한이 없어서 어쩔 수 없이 권고만 가능하다고 한다. 세부적인 지침을 신설하든 개정하든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줬으면 좋겠다.

프로필 사진
김미진

사실만을 포착하고 왜곡없이 전달하겠습니다. 김미진입니다.

관련기사

50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