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한미디어 윤동욱 기자] 지역에서 활동하는 정당인으로서 다양한 정치적 관점들이 궁금했다. 청년 정치, 조직화, PK(부산경남), 노동, 정의당의 현실 등등. 독고다이 인생 18번째 주인공 이소정 정책기획국장(정의당 경남도당)편의 두 번째 기사는 농도 짙은 정치에 대한 이야기들로 채웠다. 이 국장은 2015년부터 지금까지 ‘청년과 대학생’ 조직 안에서의 경험을 쌓았다. 여전히 청년 정치인으로 분류되는 연령인데 청년들을 조직하는 일은 쉽지 않을 것 같다. 실제로 어땠을까? 쉽지 않았다. 2019년까지 대학교에서 학생위원장을 하고 경남도당에서 청년 학생위원장을 하고 청년 부문에서 주로 활동을 하다가 2020년에 도당 부위원장에 도전하게 되면서 뭔가 청년 부문에서만 활동하는 사람이라는 이미지를 벗고 싶었다. 조직하는 일을 언제 어디서 누구를 대상으로 해도 힘들다. 내가 청년 당사자라고 해서 모든 청년과 같은 경험을 공유하는 것은 아니다. 청년들 역시 너무나 다양하고 전부 다르기 때문에 내가 청년 정치인으로 호명되는 것조차 조심스럽다. 청년들을 정당이나 시민사회 계열로 조직하기 어려운 부분은 있다. 시대적인 상황이나 사회 문화적인 배경이 작용해서 그런 것 같다.
[평범한미디어 한정희 기자] 청년과 공정은 핫한 키워드다. 검색창에 ‘청년’을 치면 수많은 청년 지원 정책들이 나오고, ‘공정’을 치면 공정거래위원회 이하 ‘공정하다는 착각’을 포함한 ‘가치와 거래’에 관한 단어들이 쏟아져 나온다. 담론의 지형이 슬쩍 드러나는 부분이다. 지난 1월 고려대학교 정치연구소에서 <불안: 청년세대가 바라본 한국 사회>라는 주제로 에세이 공모전을 개최했다. 수상자들의 글은 책 <어쩔청년 저쩔공정>으로 재탄생했다. 19일 저녁 서울 성북구 소재 ‘피카커피’에서 북콘서트가 열려서 가봤다. 여느 북콘서트나 발표회장과는 다른 분위기가 인상적이었는데 인적 구성에서부터 도드라졌다. 공동 저자 청년 4명이 가운데에 모여 있으나, 사회자와 패널 그리고 청중들 대다수가 ‘교수님’이었다. 조계연 교수(고려대 정치연구소)가 진행을 맡았는데 공동 저자들이 각자 집필 내용을 소개하고, <급진의 20대> <인싸를 죽여라> 등을 펴낸 김내훈 작가와, 이정진 연구관(국회입법조사처)이 토론자로 나섰다. 먼저 엄준희씨(고려대 정외과 대학원생)는 청년들의 불안 정서에 주목했다. 준희씨는 청년의 불안은 경제 문제와 직결돼 있다
[평범한미디어 윤동욱 기자] 너무 바빴고 내용이 많아 시간이 좀 걸렸는데 그냥 넘어가지 않고 2편을 이제서야 마무리하게 됐다. 한 달 전(12월20일) 19시 광주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광주청년센터에서 <청년 정치인의 뻔하지 않은 정치> 포럼이 개최됐는데 1편을 출고한지도 3주가 지났다. 1편에서 더불어민주당 최영환 광주시의원과 정의당 광주시당 문정은 정책위원장은 진입장벽을 높게 하는 고비용 정치 구조에 대해 생생하게 풀어냈다. 한 마디로 선거에 나가려면 돈이 너무 많이 든다. 2편에서는 돈 문제 말고도 청년 정치인들이 어떤 식으로 소모되고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전체 풀영상을 보고 싶다면 아래 첨부한 동영상의 '유튜브에서 보기'를 클릭하면 된다. 일단 기사 제목에 대한 부분부터 다뤄보면 이런 거다. 본지 기자는 두 사람에게 이런 질문을 던졌다. 윤석열 후보가 유튜브 등 SNS 전략으로 청년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가려는 시도를 하고 있고 연일 공들이고 있다. 그러나 청년들은 친구 같은 대통령 보다 대통령다운 대통령을 원한다고 일침을 가했다. 어떻게 생각하는가? 국민의힘과 윤석열 후보에 대해 세게 말해줄 것 같았던 민주당 소속 최 의원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