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김영선 서구의원 “광주에 풍암호수만한 호수 없어” 원형 그대로 유지해야

배너
배너

[평범한미디어 박효영 기자] 무소속 김영선 서구의원(광주광역시)은 관내에 있는 풍암호수의 가치를 줄기차게 설파했다. 풍암호수는 1950년대부터 농업 관개형 저수지로 조성됐는데 인근의 개발 상황과 맞물려 도심 속 휴양지로 자리잡았다. 그렇게 풍암호수 “공원”이 되었다. 외지 관광객들이 찾는 랜드마크다. 문제는 녹조와 악취다.

 

 

김 의원은 지난 6월29일 오후 서구의회 사무실에서 평범한미디어와 만나 “저수지다 보니 다른 하천이나 이런 데서 물이 들어오는 게 아니고 그냥 빗물이 고여 있다. 고여 있으면 물이 썩는다. 왔다 갔다 순환이 안 되니까”라며 “풍암호수에 녹조가 생기는 원인은 3가지”라고 운을 뗐다.

 

김 의원이 정리한 3가지 원인은 아래와 같다.

 

①인근 염주 체육공원 부지에 쓰레기를 매립했는데 오염수가 침수되어 주기적으로 250톤 가량이 흘러들어옴

②외부 유입수가 없어 고여 있음

③주변 롯데마트와 월드컵경기장 주차장에 항상 차량들이 가득 차있는데 타이어 분진과 엔진오일 등이 쓸려서 풍암호수로 유임됨

 

지금까지 수질 개선을 위한 여러 시도들이 있었다.

 

서구청이 광주시 예산을 받아 오염수 유입을 막는 조치를 취했고(①), 광주 민간공원 특례사업(한양건설이 최대 주주가 되어 9개 공원과 10개 지구에 걸쳐 아파트 개발)과 관련하여 풍암호수가 해당 개발 지역에 포함돼 있는데 민간 건설사들이 이를 사들인 뒤 250억원 가량의 정화시설을 설치해서 기부 채납(②③)하는 방법 등이 수면 위에서 논의됐다.

 

문제는 광주시가 그 정화시설을 운용하는 데에만 매년 상당한 예산이 소요된다는 이유로 손사레를 치고 있다는 점이다.

 

김 의원은 “정화시설을 도입하게 되면 유지관리비가 든다는 것이다. 인원이 상주해야 하고 동력비가 드는데 그런 예산이 8~9억 정도”라며 “(광주시는 도대체) 풍암호수가 뭐길래 여기에 8~9억을 들이냐고 해서 그래서 서구청에서 TF팀(시구 담당 공무원/농어촌공사/특례사업시행사/환경단체/수질생태 전문가 등 11명)을 꾸렸다”고 말했다.

 

 

TF팀은 2019년 12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4차례에 걸쳐 논의를 한 결과 △풍암호수에 매일 250톤 이상의 맑은 물을 유입시키되 △호수의 면적은 유지하고 △수심 즉 담수량을 낮추기로 했다.

 

김 의원은 TF팀의 결론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담수량이 높게 유지되는 것이 풍암호수의 경쟁력이자 차별 지점인데 그걸 낮추려면 45만톤의 저수량 중 33만톤(12만톤으로 유지)이나 빼내야 하기 때문이다. 결국 저수량을 낮추려면 그만큼 메꿔야 하는데 그 자체로 비현실적이다.

 

김 의원은 “(TF팀의 방안대로) 정화시설을 안 하고 수질 개선을 하려면 45만톤을 12만톤으로 줄여서 다른 걸로 메꿔야 한다”며 “3분의 2 정도 바닥을 싹 메꾼다. 그 다음에 더러운 물을 싹 빼내고 지하수나 깨끗한 물을 채운다. 12만5000톤의 깨끗한 지하수를 채우려면 한 300일 걸릴 것 같다. 어항식으로 하려고 하는 것 같은데 (TF팀이 수심에만 포커스를 두고) 인천 청라호수, 고양 일산호수, 파주 운정호수 등의 사례를 참고한 것 같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김 의원은 TF팀이 참고한 청라호수(69만3000제곱미터+저수량 38만톤), 일산호수(30만제곱미터+저수량 36만톤), 운정호수(72만4937제곱미터+저수량 21만톤) 등에 대해 전부 풍암호수(13만3000제곱미터+45만톤)에 비해 저수량은 적고 호수 면적은 넓어 적절한 비교군이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세 호수들은) 저수량이 적지만 면적이 넓다. 풍암호수는 13만제곱미터 밖에 안 된다. 전부 얇고 넓은 생태공원들이라 거기에다 우리를 대비시켜서 만들면 작은 호수밖에 안 된다”고 주장했다.

 

결국 서구청은 7월5일 TF팀의 결론에 대해 전면 재검토를 하기로 했다. 김 의원과 인터뷰를 했을 시점에는 TF팀의 방안에 대한 비판론이 받아들여질지 미지수였으나 결과적으로는 김 의원의 바람대로 올스톱됐다. 서구청은 “풍암호수의 원형 훼손이 우려된다”는 지역 주민들의 여론을 수렴해서 TF팀의 인적 구성을 대폭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나아가 추후 재논의 이후 결론이 도출되면 이를 시에 제출할 계획이다.

 

 

김 의원은 “지금 풍암호수가 굉장히 유명해진 것이 뭐냐면 담수량이 많아서 그렇다. 한 마디로 말해서 깊다. 그 다음 산속에 있다. 다른 호수들은 하천이나 들에 있는데 우리는 산속에 있다. 샘 같다. 그래서 물 그림자 경관이 수려하다. 사람들이 그걸 보고 안정을 취한다. 그리고 시원하고 벌레도 별로 없다”면서 “평상시 코로나 이전에 풍암호수에 (연간 37만명 하루 평균 1000명~) 3000명 가까이 왔다. 공휴일에는 엄청나게 많이 왔다. 그렇게 유명한 호수이고 광주에는 풍암호수만한 호수가 없다”고 어필했다.

 

이어 “(저수량을 낮추면) 당연히 더 더워진다. 벌레도 생기고 복잡해진다. 면적이 넓으면 상관없지만 그렇지가 않다. 결과적으로 그런 형태로 만든다는 발상 자체가 잘못된 것”이라고 역설했다.

 

아울러 김 의원은 지금과 같은 풍암호수가 민선 4기(2006년~2010년) 때 100억원 가량이 투입되어 조성됐는데 “그걸 이제 와서 다시 3분의 1을 메꾼다는 것이 말이 되느냐? 문제가 생기면 다시 파야 한다”고 주장했다.

 

거듭해서 김 의원은 “정화시설을 안 하려면 결국 운천저수지(서구 쌍촌동)처럼 어항식으로 메꿔야 한다”고 말했다.

 

“(서구 주민들) 몇몇 사람들에게 물어보면 다들 (저수량을 낮추는 방안에 대해) 미쳤다고 한다. 풍암호수의 가장 큰 문제는 녹조다. 호수공원 수질이 대부분 4급수다. 3급수는 꿈이다. 어렵다. 문제는 녹조와 냄새인데 그것 때문에 하고 있는데 정화시설로 이미 정화된 물이 다시 돌아서 괜찮다. 또 녹조가 1년 내내 아니라 봄가을철에만 일어난다. 그 외에 겨울에는 깨끗하다. (중략) 유지관리비에만 초점을 둬서 보면 안 되고 유지관리비도 정확하게 계산을 해봐야 한다. 가치의 측면에서 봤을 때 서구 주민들에게 물어본다고 해도 호수로서의 역할을 다 한다고 했을 때 더 많은 돈을 들일 수도 있다는 반응이 나올 것이다. 충분히 그렇게 할만한 가치가 있다.”

 

궁극적으로 김 의원은 “간단하다. 원형 훼손을 안 하는 방식으로 하면 된다”고 밝혔다.

프로필 사진
박효영

평범한미디어를 설립한 박효영 기자입니다. 유명한 사람들과 권력자들만 뉴스에 나오는 기성 언론의 질서를 거부하고 평범한 사람들의 눈높이에서 사안을 바라보고 취재하겠습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