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메타버스'에서 쏟아지는 개인정보들 "부작용 막으려면 제도적 기반 마련돼야"

배너
배너

 

[평범한미디어 김미진 기자] 충청권 4개 광역자치단체와 대덕특구 연구기관이 ‘충청권 인공지능(AI)·메타버스(Metaverse) 생태계 구축’을 위해 힘을 모으기로 했다.

 

전도유망한 기술력과 든든한 지원력이 더해져 '충청권 메가시티'로의 발전에 큰 힘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물리적 개념으로서의 장소가 아니기 때문에 범죄의 온상이 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속출한다.

 

대전시는 세종과 충남, 충북과 함께 인공지능과 메타버스를 융합한 신사업 발굴에 본격 나선다고 9일 밝혔다. ‘메타버스’는 현실과 가상이 결합한 ‘초월(Meta) 세계(Universe)’를 뜻하는 용어로 IT 기술을 토대로 만들어지는 여가생활과 경제활동이 가능한 가상융합공간이다. 한 마디로 현실의 나를 대신해서 아바타가 일상활동과 경제생활을 영위하는 3D 기반의 가상세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메타버스는 지난달 14일 정부가 발표한 한국형 뉴딜 2.0에서 언급되어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산업의 디지털 융복합 가속화에 대응하기 위해 초연결 신산업 분야를 집중 발굴 및 육성할 계획을 발표했는데 여기에 메타버스가 포함됐다. 

 

충청권 4개 지자체는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인공지능과 메타버스의 핵심 기술을 연구 및 개발하고, 지자체에서 실증 확산해나가는 생태계를 구축하기로 협의했다. 각 지자체는 인공지능 솔루션과 메타버스 환경을 활용해 바이오, 자동차, 디지털 헬스케어, 반도체 등 지역 주력산업을 지원하고 사회복지, 교통, 안전, 환경 분야 등에 적용해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4개 지자체는 카이스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등 대덕특구 연구기관과 협력하여 전문가 협의체를 결성했다. 협의체에는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블록체인, 사물인터넷(IoT), 디지털트윈, 5G, 슈퍼컴퓨팅, 데이터, 콘텐츠 등 인공지능과 메타버스 융합에 필요한 각 요소기술의 전문가가 참여한다.

 

앞으로 협의체는 한국기계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에너지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 분야별 연구기관을 비롯한 국내외 IT 기업들과도 손을 잡고 추진단을 구성할 계획이다.

 

 

다만 '가상공간'이 가지는 익명성으로 인해 범죄에 노출될 가능성이 커진다는 우려 목소리가 점점 고조되고 있다. 현실의 개인들을 대신해서 아바타가 가상세계에서 활동해야 하기 때문에 통제할 수 없는 개인정보들이 쏟아져나올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법률과 제도적 기반이 구축돼야 한다.

 

대덕특구 내 한 정부출연연구기관 관계자는 지난 13일 평범한미디어와 만나 "모든 온라인 유니버스가 그렇듯 익명성에 기대어 저지르는 범죄가 분명 있을 것이다. 또한 시중은행 등 금융권에서도 본격적으로 메타버스 활용 금융 서비스에 돌입하겠다고 선언한 만큼 지금껏 없었던 개인정보들이 화수분처럼 쏟아질 것"이라며 "메타버스 생태계 청사진과는 별도로 사회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통제하기 어려운 관계가 생겨날텐데 기술력도 중요하지만 이를 이끌어나갈 제도적 근거를 마련해두지 않으면 범죄가 들끓을 수밖에 없다. 문제는 그 근거 마련의 기반이 현재로서는 없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인공지능과 결합한 메타버스로의 사회경제 전환은 코로나19라는 팬데믹 이후의 시대적 요구다. 이번 충청권의 메타버스 생태계 구축이 지역과 국가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되기 위해선 앞서 언급된 사회경제적인 관계에 대한 윤리적 통제가 가능하게끔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지자체들의 활발한 논의는 물론, 이를 통해 범시민적인 합의점을 이끌어내야만 하는 이유다. 

프로필 사진
김미진

사실만을 포착하고 왜곡없이 전달하겠습니다. 김미진입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