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칼럼] 소방관들만 ‘산불’을 끄는 것이 아니다

배너
배너

[평범한미디어 전상민] 보통 산불이 나면 소방관들이 산불 진압을 전적으로 책임진다고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물론 소방관들도 산불이 나면 출동하지만 사실 현장의 최전선에서 수고를 해주는 숨은 조력자들이 있다. 바로 산불 특수진화대, 공중진화대, 전문예방진화대 등 이 3곳에 포함된 대원들이다. 우리나라는 이 세 진화대를 주축으로 최전방 산불 진화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작년부터 32개의 드론감시단, 10개의 드론진화대 등 최근 활용되는 기술을 적극 사용하여 시스템 업그레이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으나 급증하는 산불 대응에는 아직 부족한 면이 있다.

 

최근 주말(4월8~9일) 전국에서 무려 35건의 산불이 났다. 그리고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건조특보가 내려져 있었다. 충남 홍성과 금산군, 대전 서구 지역 등등 여전히 진화 작업 중에 있는 지역도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세 진화대의 대원들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은 안전문자가 수시로 날라오는 상황만 봐도 쉽게 알 수 있지만 이들이 근무하는 상황은 그리 녹록치 않은 것이 현실이다. 먼저 전문예방진화대 같은 경우 전국에 1만명이 넘는 인원이 있지만 정부 단기 일자리 사업으로 운영이 되다 보니 평균 연령이 61세에 달한다. 그렇다보니 야간 진화작업이 어렵고 주로 잔불 정리와 뒷불 감시에만 주로 투입되고 있다.

 

 

그리고 공중진화대 104명, 특수진화대 435명 등 전문인력은 전국에 대략 540명 수준이며 현재 산불이 자주 일어나는 상황을 놓고 보면 턱없이 부족한 인원이지만 공무원 정원 규정에 발이 묶여 증원에 대한 부분은 엄두도 내지 못 하는 게 현실이다.

 

산불 헬기만 보더라도 2020년 기준 전국에 47대 가량 보유하고 있지만 2021년에 350건 넘게 출동했다고 한다. 과부하가 걸릴 수밖에 없다. 공중진화대도 연 평균 100건 가량 출동하고 있다. 이런 현실만 봐도 대한민국 산불 진화 시스템이 아주 열악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행히도 산불 예방에 투입되는 예산이 2022년 456억원에서 올해 511억원으로 50억원 이상 늘었고 본부 및 전국 각 지역에 있는 드론을 활용한 계도에도 신경을 쓰고 있지만 개선이 더딘 부분 역시 있다. 예컨대 전체 헬기 48대 중 노후 헬기 비율이 67%에 이르고 있다.

 

기후위기 대응을 통한 근본적인 예방도 물론 중요하다. 그렇지만 이미 존재하는 시스템을 상시 점검하고 개선 방안을 찾아 보완해나가는 것 역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정치권에서는 맨날 국정감사 기간에만 반짝 관심 갖지 말고 각 당에서 주기적으로 관련 사안들을 점검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 언제까지 산불 나면 있는 자원 다 쓰라는 말만 반복할 것인가? 이미 지금도 충분히 산불 진화 인력을 총동원하고 있다. 다만 턱없이 열악할 뿐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