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직업병안심센터' 실효성 있을까?

배너
배너

[평범한미디어 김미진 기자] 노동자의 '직업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중대재해 수사를 지원하는 '직업병안심센터'가 지난 1일 처음으로 문을 연 가운데 시기가 너무 늦은 게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고조되고 있다. 중대재해처벌법의 사각지대에 대한 논란이 거세진 시점에서 센터 하나로 뒷북 대응을 하는 것 아니냐는 이유에서다. 

 

 

고용노동부는 이날 서울 성동구에 위치한 한양대병원(서울 직업병안심센터 운영기관)에서 센터 개소식을 개최했다.

 

센터는 노동자가 직업병이 의심돼 병원을 찾았을 때 병이 실제로 업무 때문에 발생했는지 신속히 확인해 추가 피해를 예방하고 후속 조치 체계를 구축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특히 센터는 급성 중독 등 중대재해법 시행령에 명시된 24개 질병 환자가 발생하면 즉각 당국에 보고하게 된다. 당국이 수사에 나서는 경우 질병이 업무에서 기인했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자문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인데 향후 중부권(인천·경기·강원), 부산, 대구, 대전, 광주 등 5개 지역에서 추가로 문을 열 계획이다. 

 

 

그러나 시작부터 잡음이 나오고 있다. 시기가 너무 늦었다. 무엇보다 중대재해법 논란을 의식한 주먹구구식 대책이 아니느냐는 비판이다. 

 

대전 소재 A 중소건설사 노조 관계자는 "올해만 해도 일하다 죽은 사람이 10명이 넘는다. 고작 3개월이 지났는데 말이다"라며 아래와 같이 말했다. 

 

중대재해법으로 처벌조차 불가능한 사례가 계속 나오고 또 그것에 대한 항의가 계속되는 와중 갑작스럽게 직업병안심센터가 문을 열었다. 취지는 좋다. 그런데 시기가 너무 그렇지 않나? 많은 사람들이 센터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 그런데 지금 실제 현장에서 기본적인 조치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는데 그걸 해결할 생각은 안 하고 갑자기 직업병안심센터라니. 이상하지 않은가.

 

중대재해법이 시행된 올해이지만 산재로 사망한 노동자는 계속 늘고 있는 추세다. 고용노동부 통계에 따르면 산재로 사망한 노동자는 2016년 808명에서 2020년 1180명으로 46% 증가했다. 중대재해법 시행 이후로도 사고 사망 케이스를 빼고 지난 2월16일 두성산업에 이어 3월4일 대흥알앤티에서 각각 16명과 13명이 트리클로로메탄에 의한 급성중독 판정을 받았다. 시행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직업병 환자들이 올 상반기에 벌써 대량으로 발생한 셈이다.

 

 

노동부에 따르면 해당 사업은 20년 전부터 논의를 해왔다고 한다. 그러나 왜 이제서야? 예산이 실제로 배정된 것도 작년부터였다.

 

충남 소재 한 건설회사에서 안전관리자 직책을 맡고 있는 B씨는 평범한미디어와의 통화에서 "각 센터에 데이터가 축적되고 유기적인 감시체계가 작동하기까지는 못 해도 3년은 지나야 한다"면서 아래와 같이 설명했다.

 

의사에게 직업성 질병 판정을 받았음에도 산재로 인정을 해주지 않는 지금 상황에서 해당 센터를 이용하는 이들이 얼마나 많을지 또 찾아간 노동자들이 얼마나 도움을 받을 수 있을 지에 대해서는 아무도 보장을 못 할 것 같다. 중대재해법 기준이나 산재 인정 과정을 살펴보고 문제가 제기되는 부분을 변화시켜야지 그냥 센터만 달랑 세웠다고 뭐가 달라지겠나. 

프로필 사진
김미진

사실만을 포착하고 왜곡없이 전달하겠습니다. 김미진입니다.

관련기사

50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