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조국혁신당의 ‘존립’이 달렸다

배너

[박성준의 오목렌즈] 83번째 기사입니다.

 

 

[평범한미디어 박효영 기자] 조국혁신당 조국 비대위원장은 뒤늦게 “정치는 책임”이라는 말을 공언했다.

 

(비대위원장직을 맡는 것이) 독배라며 날 말리는 분들이 많았다. ‘다치지 않도록 뒤에 있으라’는 말도 많이 들었다. 그러나 그것은 계산이다. 나는 그렇게 정치하지 않겠다. 정치는 책임이다. 내가 책임지고 피해자의 상처 치유, 온전한 보상, 재발 방지, 제도 개선을 하겠다. 실천으로 응답하겠다. 진심으로 진심을 얻겠다.

 

 

15일 조 위원장이 비대위를 꾸리고 첫 회의를 열고 위와 같이 말했다. 박성준 센터장(다소니자립생활센터)은 “사실 조국혁신당 문제는 그 이전부터 있었던 것이고 어쩌면 수면 밑에 있던 게 튀어나온 것”이라며 “수면 밑에 있을 때 수습을 할 수 있는 사람들이 없었다는 게 문제고 결국은 부정하지만 조국 대표가 적극적이지 못했다는 게 제일 문제”라고 지적했다. 본인 스스로 지난 2024년 총선 정국에서 창당한 정당의 대주주라는 걸 인정하고 있지만 조 위원장의 최초 메시지는 “수감 당시 당적 박탈로 비당원 신분이었던 나로서는 당의 공식 절차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할 수 있는 역할이 없었다”는 무책임 그 자체였다.

 

비당원인 내가 이 절차에 개입하는 것이 공당의 체계와 절차를 무너뜨린다고 판단했다.

 

이번 오목렌즈 전화 대담에서는 조국혁신당과 조 위원장에 대해 다뤘다. 11일 오전 전화 대담이 이뤄졌다. 박 센터장은 “사실 조국 대표의 딜레마인데 훨씬 더 엄격한 잣대로 이야기해야 되는데 그 규칙이 조국혁신당이라는 그 당의 구성원들에 비해서 스스로 원칙론자였다”고 강조했다.

 

헌법에 대한 해석도 그렇고 조국 대표의 개인적인 성향도 그렇고 유권자들이 훨씬 더 높은 수준의 기준을 요구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기본도 지켜지지 않았다. 조국혁신당의 플랜에 있어서 이 사건은 굉장히 크게 흔드는 사건이 돼버렸다. 사건을 키웠다라고 보는데 초기에 빨리 수습을 하고 사건 관련자들을 탈당시켜서 분리를 하지 않았다. 수습 과정에서 미숙함이 컸는데 이번 사건은 굉장히 조국혁신당에 타격이 클 거라고 본다.

 

내년 지방선거 뿐만 아니라 당의 존립을 흔들 수도 있다고 보는 것이 박 센터장의 진단이다. 박 센터장은 “조국혁신당의 가장 큰 목표는 민주당과의 합당과 조국 대표의 차기 대권”이라며 “포스트 이재명을 조국이 차지하고 싶을텐데 이번 사건이 걸림돌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마 조국 대표를 비롯한 사람들이 조국혁신당이라는 이름을 가지고는 앞으로 더 큰 길로 가기가 쉽지 않을 것 같다라는 생각이 든다.

 

사실 민주당계 인물들은 조 위원장이 출소한 직후부터 때리기 시작했다. 차기 대권 주자가 마땅치 않은 상황에서 조국이 부상하는 상황을 견제하려는 심리가 작용했다. 때마침 성범죄 관련 이슈가 공론화됐고 “피해호소인”과 내로남불로 상징되는 민주당에서 조국혁신당을 융단폭격하기 시작했다. 박 센터장은 “내부에 인물이 없다는 공감대를 갖고 있는데 민주진보 진영에서 누구를 데려온다면 그거는 조국이 될 거라는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이라며 “사실 조국혁신당이 아니라 민주당에서도 예전부터 있었던 것이 성범죄와 대처 문제인데 남의 당 얘기라서 쉽게 막 얘기하는 것 같다. 내부에서 문제가 됐을 때 어떻게 대응했는지 다들 알고 있는데 좀 뻔뻔한 면이 있다”고 꼬접었다.

 

민주당 내부에서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는 생각이 드는데 이제 더 이상 조국 대표를 키워줘서는 안 되겠다라는 생각을 하고 있는 것 같다.

 

다시 돌아와서 김선민 전 당대표 권한대행도 그렇고 조 위원장도 그렇고 ‘절차를 지켰으나 피해자의 마음을 보듬지 못했다’는 식으로 워딩을 사용했다. 박 센터장은 “절차대로 했다고 강조하던데 누가 정한 절차냐를 봐야 된다”고 일축했다.

 

그러니까 이게 무슨 얘기냐면 강미정 전 대변인이 공론화를 시키기 전까진 내부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생각을 해서 고작 SNS로 공동 사과문을 내는 정도에 그쳤다. 피해자에게 자초지종을 듣고 그에 따라 조사를 하고 가해자를 격리시키고 사실관계를 확인한 다음 공개적으로 브리핑하고 그에 맞는 징계를 내리는 등 일반적인 당내 성범죄 문제에 대응하는 프로세스가 지켜지지 않았다. 그리고 당대표가 됐든 누구든 책임있는 인물의 공개적인 사과도 있어야 했다.

 

지난 2021년 정의당이 김종철 전 대표의 성추행 사태 당시 어떻게 대처를 했는지 모범 사례로 살펴보면 좋을 것 같다. 박 센터장은 작년과 올 상반기에 지금보다는 작게 이슈화가 됐을 때 “이 사건을 일단락하고 싶은 마음에 처리 방식에 있어서 좀 많이 서툴렀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조국혁신당 구성원들 입장에서는 당 창당하고 얼마 안 돼서 문제가 불거지다 보니까 일단 당과 조국을 먼저 살리자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던 것 같다. 이걸 수습하기에 급급해서 이후에 어떤 파급력이나 그런 것들을 전혀 생각을 못했던 분위기가 아닐까 싶다. 그리고 사실은 조국혁신당 내에서 주요 분파라고 할 수 있는 사람들이 문재인 전 대통령하고의 인맥을 갖고 있다. 그러다 보니까 조국도 어쩌지 못하는 부분이 있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그렇다고 해도 조국 대표한테 큰 책임이 있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프로필 사진
박효영

평범한미디어를 설립한 박효영 기자입니다. 유명한 사람들과 권력자들만 뉴스에 나오는 기성 언론의 질서를 거부하고 평범한 사람들의 눈높이에서 사안을 바라보고 취재하겠습니다.

관련기사

8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