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죽음의 갓길 추월 '오토바이 동호회' 라이더들의 비극

배너
배너

[평범한미디어 윤동욱 기자] 오토바이는 기본적으로 바퀴가 2개라 4개인 자동차에 비해 안정감이 떨어진다. 더구나 뚜껑이 없다. 근데 속도감은 자동차 못지 않다. 그래서 가까운 사람들 중에 오토바이 라이딩을 즐기는 사람이 있다면 일단 말리거나 "조심해"라고 수없이 말해준다. 위험하니까. 그동안 평범한미디어 교통팀에서는 자동차와 자전거간의 충돌을 몇 차례에 걸쳐 보도(공사장에서 '덤프트럭'에 치인 자전거 "조심하고 또 조심해야")했는데 오토바이도 마찬가지로 자동차와 부딪치면 중상 또는 사망할 가능성이 현저히 높다.

 

오토바이가 자전거보다 훨씬 위험하다. 인력으로 가는 자전거는 일반 남성이 아무리 밟아야 20~30km 속도 밖에 나오지 않는다. 하지만 오토바이는 마음만 먹으면 시속 100km 이상으로 주행할 수 있다. 자전거와 비교가 불가능하다. 고성능 오토바이는 자동차보다 더 빠르다. 오토바이는 자동차보다 중량이 낮기 때문이다. 그래서 좀만 삐끗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서론이 길었는데.

 

9일 낮 12시50분쯤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에 위치한 국도(서울방면 복포리 인근 6번 국도)에서 50대 A씨, 30대 B씨, 40대 C씨 등 3명이 운행했던 오토바이 3대가 나란히 도로 갓길을 질주하다가 신호대기 중이었던 산타페 SUV 차량의 후미를 스치면서 중심을 잃고 그대로 넘어졌다.

 

A씨 먼저 사고가 났고 그 이후 B씨와 C씨 모두 사고를 당했다. 충돌한 오토바이들은 큰 충격에 멀리 튕겨나가 서로 뒤엉켰고 일부는 도로 우측 옹벽에 부딪힌 뒤에서야 멈췄다.

 

3명은 사고 직후 곧바로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안타깝게도 최초 사고를 낸 A씨와, 대열 후미에 있던 C씨는 숨을 거뒀다. B씨는 복합 골절 등 중상을 입고 치료 중이라고 한다.

 

 

'보배드림'에 올라온 블랙박스 영상을 보면 오타바이 3대가 오른쪽 갓길로 가다가 연쇄적으로 넘어졌다. 맨 앞에 있던 산타페 차량을 들이받은 것은 아니었고 후미와 스쳤던 건데 가속으로 달리던 중이라 엄청난 참사가 빚어졌다. 후미 스침 뒤 중심을 잃었고, 하필 갓길에 쌓여있던 모래를 만나 그대로 미끄러졌고, 도로옹벽과 강하게 충돌했다.

 

이들은 바이크 동호회 회원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무엇보다 3대 전부 안전거리를 확보하지 않고 10미터 이내로 아주 가까이 붙어 주행했던 것이 치명적이었다. 앞 오토바이가 넘어지는 것을 피할 수가 없었다.

 

양평경찰서 관계자는 "사고 구간이 상습 정체가 심했던 곳이었고 그 당시에도 여러 차량들이 꼬리를 물고 멈춰있었다"고 밝혔다.

 

 

무리하게 고속으로 주행하다 발생한 오토바이 사고는 종종 보도되고 있다.

 

2019년 7월1일 경기도 안산 단원구에 위치한 '시화방조제'에서 40대 D씨가 무려 시속 200km로 오토바이를 몰다 목숨을 잃었다. D씨는 차로 변경을 시도하던 차량과 충돌함과 동시에 순간적으로 몸이 붕 떳을 정도였다. D씨는 즉사할 수밖에 없었다.

 

탁트인 바다에 직선도로가 뻗어 있는 시화방조제는 운전자들로 하여금 스피드를 즐기고 싶게 만든다. 그래서 꽤 유명하다고 한다. 허나 과속은 금물이다. 통상 고속도로 규정 속도가 시속 100km인데 200km라니 그야말로 위험천만했다. 자동차 주행 기준 150km 이상만 되어도 뭔가 위험한 기분이 들고 긴장감이 배가 된다. 

 

 

MBC 시트콤 <지붕뚫고 하이킥>에서, 현경은 남편 보석이 바이크를 타는 것에 대해 "이혼을 감수하라"며 오버스러울 정도로 강경했다. 그만큼 오토바이는 그 자체로 위험하다.

 

물론 오토바이가 위험하다고 해서 현실적으로 아예 못 타게 할 수는 없다. 배달 라이더 등 오토바이로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들도 많고 자동차보다 크기가 작아 좁은 골목을 다닐 수 있는 교통수단으로써의 장점도 분명 있기 때문이다. 다만 조심 또 조심이다. 헬맷 착용, 우천시 타지 않기, 신호 준수, 무리한 추월하지 않기, 과속 자제 등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

프로필 사진
윤동욱

안녕하세요. 평범한미디어 윤동욱 기자입니다. 권력을 바라보는 냉철함과 사회적 약자들을 바라보는 따뜻한 시선을 유지하겠습니다. 더불어 일상 속 불편함을 탐구하는 자세도 놓지치 않겠습니다.

관련기사

78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